모바일 앱 만들기,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프로그램 설치

최근에는 홈페이지와 더불어 앱도 함께 제공하는 경우가 많아졌습니다. 심지어 홈페이지 없이 앱만으로 서비스하는 업체들도 생겨나고 있습니다.
3단계로 나누어 웹사이트를 안드로이드용 앱으로 포장하는, 일명 하이브리드 앱을 복사+붙여넣기로 제작해보고 구글 플레이에 등록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그 첫번째로, 하이브리드 앱 제작을 위해 안드로이드 스튜디오라는 프로그램을 설치, 세팅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안드로이드 앱 제작은 '안드로이드 스튜디오(Android Studio)'라고 하는 소프트웨어를 사용합니다.
다음 URL에 접속하여 다운로드 하고 설치를 합니다.
https://developer.android.com/studio
여느 프로그램 설치와 비슷하게 몇번의 '다음' 버튼 클릭과 디폴트 값 선택으로 설치가 가능합니다.
설치가 완료되면 안드로이드 스튜디오를 실행합니다. 첫 실행이기에 'Start a new Android Studio project'를 선택해 줍니다.
프로젝트 템플릿 선택화면에서는 'Empty Activity'를 선택합니다. 앱 정보를 입력하는 화면은 조금 신경을 써줍니다.
앱이름, 패키지이름, 설치장소, 및 SDK버전을 설정해야하는데, 패키지이름은 다른 앱과 구분되는 유일무이한 값을 사용해야 합니다. 홈페이지 URL을 역순으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예) com.홈페이지.앱이름 => com.developerboss.app
예) com.회사이름.플랫폼.앱이름 => com.webejoa.android.app
언어는 'Java'를 선택하고 Minimum SDK는 'API 19: Android 4.4 (KitKat)'을 선택해줍니다.
실제로 안드로이드 스튜디오가 잘 동작하는지 확인을 위해 에뮬레이터를 기동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메뉴에서 'Run app'을 클릭하면 "Error running 'app': No target device found."라는 에러 메시지가 뜹니다.
핸드폰과 동일하게 작동하는 에뮬레이터를 이용해서 앱의 동작을 확인해야하는데 이 에뮬레이터로 테스트할 디바이스 정보가 없는 것입니다.
메뉴 부분에 'No Devices'라는 부분을 클릭하여 'Open AVD Manager'를 클릭합니다.
테스트용으로 이용할 디바이스 하드웨어 사양을 선택하고, 다음으로 소프트웨어 버전을 선택합니다.
기본 또는 디폴트로 선택된 상태로 설정하고나면 필요한 파일을 다시 다운받고 설치를 시작합니다.
처음에 아무 디바이스가 없기에 '+ Create Virtual Device'를 클릭, 다음 화면에서 'Phone - Pixel 2', 다음 화면에서 'Recommended 탭의 가장 최신 API Level 30'을 선택하고 다운로드 합니다.
설치가 완료되면 메뉴 부분에 'No Devices'로 나타나던 부분에 방금 설치한 디바이스 정보가 보이게 됩니다.
이제 다시 'Run app'을 클릭하여 에뮬레이터를 기동해봅니다.
드디어 핸드폰 모양의 에뮬레이터가 뜨고 한참을 기다리면 'Hello World' 화면이 나타납니다.
예전에 사용했던 PhoneGap, Cordova, 구버전 안드로이드 스튜디오는 설치하고 세팅하는데 며칠이 걸렸습니다.
이것저것 필요한 파일들을 여러곳에서 다운로드 받고 설치하는 형태였고, 연관된 프로그램들의 버전 및 의존성 등이 맞지 않으면 에러가 나고 실행이 되지 않기에 세팅하는데 고생했던 기억이 있습니다.
그 때의 기억때문에 이 후 안드로이드 스튜디오를 새 노트북에 설치할 엄두를 내지 못하고 있었는데, 오늘 새로 설치해보니 허무하게 간단하네요. ㅜㅜ
다음에는 소스코드를 수정하여 앱을 실행하면 홈페이지로 접속하는 하이브리드 앱을 만들어 보도록하겠습니다.
댓글 달기